loading
생활정보 / / 2023. 2. 9. 11:08

2023 야간수당 기준 및 계산법

반응형

야간수당 연장근로수당 휴일수당 주말근무수당 등 2023년도 근무수당 규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023 야간수당 기준

연장근로수당 기준

먼저, 2023년도 근무수당 중 연장근로수당 기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근로기준법상 연장근로

제56조(연장. 야간 및 휴일 근로)

● 사용자는 연장근로(제53조.제59조 및 제69조 단서에 따라 연장된 시간의 근로)와 야간근로(오후 10시부터 오전 6시까지 사이의 근로) 또는 휴일 근로에 대하여는 통상입금의 100분의 50 이상을 가산하여 지급하여야 한다.

● 대한민구 근로기준법 상 규정하는 기본 연장근로시간은 1일 소정근로시간 이상 근무하게 될 경우, 연장근로시간이 적용되어 고용자는 피고용인에게 통상임금의 50% 이상의 연장근로수당을 지급해야 한다. 

 

위의 법에서도 나와 있듯이 연장근로는 원래 내가 해야 하는 근로시간을 초과해서 근무하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통상입금의 50/100 이상을 가산하여 지급하여야 합니다. 

기본 연장 근로시간은 1일 소정근로시간 이상을 근무하게 될 경우이며, 이 연장근로가 적용이 되면 근로자에게 고용주는 50% 이상의 연장근로수당을 지급해야 합니다. 

 

2023 연장근로수당 계산법

 

 

즉, 연장해서 근로한 시간이 2시간이라고 하면 거기에 시브과 0.5를 곱하면 연장근로수당을 계산하실 수 있습니다. 

 

 

 

2023 야간 수당 기준

2023 근무수당 규정 중 야간수당 기준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야간 근로는 오후 10시부터 다음 날 오전 6시 사이의 근로를 말하는 것으로 이 시간에 근로를 하게 되면 야간근로에 해당이 되어 야간수당을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야간 수당은 통상임금의 50/100 이상을 가산하여 근로자에게 지급됩니다. 

또한, 한 가지 기억해야 할 것은 야간근로시간은 5인 이상의 사업장에만 적용이 된다는 것입니다. 

야간 수당 계산법은 밤 10시에서 새벽 6시 사이에 발생한 근로시간에 대해서만 50%를 가산합니다. 

 

2023 야간수당 계산법

 

 

 

휴일수당 & 주말근무수당 기준

휴일근로수당은 크게 유급 휴일근로수당과 무급 휴일 근로 수당으로 나뉩니다. 

유급 휴일근로수당의 경우에는 근로자의 날과 주휴일 근무시에 추가로 지급되는 수당이고, 무급 휴일 근로수당은 취업규칙이나 단체협약상의 휴일근무 시 추가로 지급되는 수당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두 가지 모두 휴일근로수당은 50%를 가산하여 지급됩니다. 

 

2023 휴일수당 계산법

 

 

공휴일에 일을 했다면 공휴일 근로수당은 어떻게 계산될까요?

공휴일은 크게 법정휴일, 법정공휴일, 대체공휴일로 나뉘어집니다. 

주유일과 근로자의 날이 법정휴일리고, 법정공휴일은 관공서의 공휴일 규정에 따른 휴일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일요일, 어린이날, 성탄절 등 일반적인 휴일, 즉 빨간날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2022년부터는 법정공휴일이 5인 이상 사업장인 민간기업에도 적용이 되어, 빨간 날 일한다면 당연히 휴일 수당을 지급받으셔야 합니다. 

 

 

연장근로, 휴일근로 시 야간수당 계산법

휴일에 밤 늦게까지 근무를 했다면 이 경우 수당은 어떻게 계산될까요? 

 

연장근로 시 야간근로수당 계산

직원의 야간근로시간이 근로기준법상 근로시간의 연장에 해당할 경우 각각 추가수당이 함께 적용됩니다. 

따라서 밤 10시 이후에 연장근로를 할 시 연장근로수당 50%와 야간근로수당 50%를 각각 지급하여야 합니다. 

예) 연장근로시간이 야간근로시간에 해당하는 직원의 경우

  • 시급: 10,000원
  • 출근시간: 13:30
  • 퇴근시간: 그 다음날 01:00 
  • 휴게시간: 시프티 이용해 1시간 휴식 기록

위와 같은 상황인 경우 급여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 기본급여: 10.5시간 X 10,000원 = 105,000원
  • 연장근로수당: 2.5시간 X 10,000 X 0.5 (50% 가산) = 12,500원
  • 야간근로수당: 3시간 X 10,000 X 0.5 (50% 가산) = 15,000원
  • 총 급여: 105,000원 + 12,500원 + 15,000원 = 132,500원

 

 

휴일근로 시 야간근로수당 계산

휴일에 일을 한 직원이 야간 근로를 했을 경우 야간근로와 겹치는 시간은 각각 휴일근로수당과 야간근로수당을 지급해야 합니다. 시급이 만원인 경우, 당일 밤 10시부터 밤 12시까지의 두 시간에 대한 임금은 아래와 같습니다. 

  • 기본급여: 2시간 X 10,000원
  • 휴일근로수당: 2시간 X 10,000원 X 0.5 (50% 가산)
  • 야간근로수당: 2시간 X 10,000원 X 0.5 (50% 가산)
  • 총 급여: 20,000원 + 10,000원 + 10,000원 = 40,000원

 

위의 경우에서처럼 연장근로나 휴일근로 상관없이 야간수당까지 가산돼서 수당이 지급되어야 합니다. 이런 점도 꼭 확인하시고 근무 계획을 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참고로 2023년 최저지급은 9,620원으로 2022년 대비 5% 인상되었습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